사진=테슬라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이번 가이던스에는 단기적으로 중국 배제가 불가능한 소재들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가이던스가 오는 7월 5일부터 효력이 발생함에 따라, 국내 2차전지 업종별·업체별로 미치는 영향을 짚어볼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 2023년 IRA FEOC 가이드라인…'부품 24년·핵심광물 25년' 적용
9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미국 IRA 법안의 30D 항목은 '친환경차 보조금 수령 조건', FEOC는 '친환경차 보조금 수령 조건에 해당되는 우려집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미 재무부가 2023년 발표한 내용부터 살펴보면, FEOC에서 말하는 우려집단은 ▲우려국(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이 소유 및 통제하는 집단 ▲우려국에 본사를 둔 집단 ▲우려국에서 사업장을 운영하는 집단 ▲우려집단이 지분 25% 이상을 직간접적으로 보유한 집단으로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려집단과 지분 조건이 없는 위탁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도 우려집단으로 분류했습니다.
FEOC 우려집단 가이드라인 발표로 해당 집단으로부터 공급받은 배터리 부품 혹은 핵심광물을 사용해 전기차를 만들 경우, 해당 전기차는 미국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배제됩니다. 부품의 경우 2024년부터, 광물은 2025년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제조하는 완성차 업체들은 핵심광물 및 구성물질 원산지 추적을 위한 시스템을 2026년까지 갖춰서 보고해야 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2차전지 공급망 구축에 있어 중국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함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우려국(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CATL ▲우려국(중국)에서 사업장을 운영하는 LG에너지솔루션의 남경공장 ▲포스코퓨처엠(60%)과 화유코발트(40%)의 양극재 합작법인(절강포화) ▲CATL과 위탁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포드(Ford) 미시간 공장 등이 FEOC 우려집단에 해당됐습니다.
다만 우려집단에서 조달한 배터리 부품과 광물을 사용해 만든 전기차가 무조건 보조금 명단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닙니다. 전기차의 배터리 부품 북미에서 '일정비율' 제조될 경우 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비율은 2023년 50%→2024~2025년 60%→2026년 70%→2027년 80%→2028년 90%→2029년 100%로 점진적인 상향이 예고됐습니다.
전기차에 사용하는 핵심광물 역시 미국 혹은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에서 '일정비율' 추출 및 가공될 경우 보조금 수령이 가능했습니다. 이 비율은 2023년 40%→2024년 50%→2025년 60%→2026년 70%→2027년 80%로 상향될 예정이었습니다.
◆ 최종 가이던스 통해 핵심광물 FEOC 적용 유예기간 부여